본문 바로가기
최신 기술 뉴스와 트렌드 분석

B2B SaaS 트렌드: 기업이 주목해야 할 클라우드 서비스

by TechNowInsights 2025. 4. 16.

 

 

1️⃣ 서론

B2B SaaS란 무엇인가?

B2B SaaS(Business-to-Business Software as a Service)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사용자는 제품을 구매하거나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월간 또는 연간 구독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합니다. 대표적으로 Salesforce, Slack, HubSpot 등이 B2B SaaS의 성공 사례로 손꼽힙니다.

왜 지금 SaaS가 각광받는가?

2020년대 들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민하고 확장 가능한 IT 인프라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SaaS는 초기 투자 비용이 적고,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기능이 개선된다는 점에서 다양한 산업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2️⃣ B2B SaaS의 시장 성장 배경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인프라 보급

  •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업무 환경이 확대되며 클라우드 전환 수요 폭증
  • AWS, Azure, Google Cloud 등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성장이 SaaS 확산을 견인
  •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까지 디지털 도입 가속화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의 안정성

  • SaaS는 정기 과금(Recurring Revenue) 구조로 수익 예측성이 뛰어나고,
  • 사용자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능 개선과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용이함
  • 고객 유지율이 핵심 KPI로, LTV(고객 생애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 중

💡 B2B SaaS는 단순히 소프트웨어 판매를 넘어, 비즈니스 파트너십 기반의 장기 관계 구축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3️⃣ 전통 소프트웨어 대비 B2B SaaS의 장점

항목 전통 소프트웨어 B2B SaaS
설치 방식 로컬 설치 (온프레미스) 웹 기반 접근
비용 구조 초기 고정 비용(CapEx) 월/년 구독 비용(OpEx)
업데이트 수동 설치 필요 자동 업데이트
접근성 사내 환경 중심 클라우드 기반, 장소 무관
유지보수 내부 인력 필요 공급업체가 지속 지원

재무 유연성의 장점

기업은 CapEx(자본적 지출)보다 OpEx(운영 지출)로 재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IT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

📊 “필요한 만큼 쓰고, 실시간으로 개선되는 소프트웨어” — 이것이 SaaS가 사랑받는 이유입니다.


4️⃣ 최근 B2B SaaS 트렌드 개요

수직 SaaS vs. 수평 SaaS

  • 수직 SaaS(Vertical SaaS): 특정 산업군에 특화된 솔루션 (ex. 의료, 물류, 건설)
  • 수평 SaaS(Horizontal SaaS): 범용 솔루션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 (ex. Slack, Notion)

마이크로 SaaS의 부상

  • 특정 기능/타겟에 집중한 경량화된 SaaS 등장
  • 스타트업 및 1인 창업자가 만들고 운영하는 경우 많음
  • 예: 사용자 피드백 위젯, 자동 이메일 요약 SaaS 등

5️⃣ 수직 SaaS의 부상

산업별 니즈에 최적화된 SaaS의 증가

  • 일반적인 기능이 아닌 현장 중심의 문제 해결 기능 제공
  • 의료: 전자의무기록(EMR), 원격 진료 플랫폼
  • 건설: 도면 협업, 현장 인력 관리, 안전 모니터링
  • 교육: 온라인 학습 플랫폼, 수강생 관리, 출결 통계

장점

  • 특정 산업에 깊이 파고들어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 높음
  • 기능 피드백 주기가 짧아 빠른 개선 가능
  • 고객 맞춤형 UI/UX 설계가 쉬움

🔍 수직 SaaS는 소수 고객이더라도 높은 LTV를 실현할 수 있는 전략형 모델입니다.


6️⃣ 수평 SaaS의 고도화

협업 중심의 플랫폼 성장

  • 수평 SaaS는 모든 산업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기반으로 하며, 대표적으로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케이션, 생산성 툴이 해당됨
  • 예: Slack(커뮤니케이션), Notion(문서·데이터 통합), Zoom(화상회의), ClickUp(올인원 협업 플랫폼)

고도화되는 사용자 경험

  • 사용자 중심의 UI/UX 설계 강화
  • 다양한 워크플로우에 맞춘 템플릿, 확장성, 사용자 커스터마이징 기능 탑재
  • 멀티플랫폼 간의 완벽한 동기화와 실시간 협업 기능 향상

🤝 수평 SaaS는 조직 전반의 협업 효율성을 높이며, 디지털 전환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7️⃣ AI 기반 SaaS의 급성장

생성형 AI의 도입 확대

  • OpenAI, Google 등 대형 AI 기업의 API 공개 이후 다양한 SaaS에 AI 기능이 빠르게 통합됨
  • 예: Notion AI(문서 요약 및 생성), Grammarly GO(콘텐츠 생성), Copy.ai(마케팅 콘텐츠 자동 생성)

예측 분석과 자동화 강화

  • Salesforce: 고객 행동 예측 기반의 자동 마케팅 시나리오
  • Intercom: AI 챗봇을 통한 고객 상담 자동화
  • Gong, Clari: 세일즈 데이터 분석 및 영업 전략 개선

🧠 AI SaaS는 반복 업무를 줄이고 비즈니스 통찰력 확보를 가능케 하는 핵심 수단으로 부상 중입니다.


8️⃣ API 중심의 통합 플랫폼 증가

API-first SaaS의 확산

  • 다양한 SaaS 도입이 일반화되면서, 기업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 간 데이터 통합 및 연동을 중요시하게 됨
  • 이에 따라 API를 기본 구조로 설계한 플랫폼(API-first)의 인기가 급증

주요 사례

  • Zapier: 수백 개의 앱 간 자동화 워크플로우 생성
  • Retool: 내부 업무 툴을 빠르게 구축하고 API로 연결
  • Segment: 사용자 데이터를 다양한 마케팅/분석 툴에 자동 전송

🔗 API 중심 SaaS는 기업 IT 환경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확보해 줍니다.


9️⃣ 보안 중심 SaaS의 확산

신뢰 기반 SaaS의 필요성 증가

  •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보호, 규제 대응(GDPR, SOC2 등)이 점차 중요해짐
  • 기업의 SaaS 선택 시 보안 인증, 암호화 수준, 액세스 제어가 핵심 고려 요소로 부상

대표 서비스

  • Okta: SSO(싱글사인온), MFA 등 아이덴티티 관리 전문 SaaS
  • 1Password Business: 팀 비밀번호 관리 및 공유
  • Vanta: SOC2, ISO27001 등 보안 인증 관리 자동화

🔐 SaaS는 편리함과 함께 보안 신뢰성을 동시에 갖추는 것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 클라우드 인프라와 SaaS의 관계

클라우드 위에서 운영되는 SaaS

  • 대부분의 B2B SaaS는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위에서 운영됨
  • 클라우드 인프라의 탄력성과 글로벌 배포 능력이 SaaS 확산을 촉진함

멀티 클라우드·하이브리드 전략

  • 기업 고객은 점차 멀티 클라우드(SaaS+On-prem+PaaS) 조합을 선호
  • 예: Salesforce + SAP + 자체 ERP의 혼합 구성
  • 하이브리드 SaaS 구조는 데이터 주권과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클라우드 이점을 유지함

☁️ 클라우드와 SaaS는 별개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이고 필연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1️⃣1️⃣ 고객 유지율(LTV)과 MRR 기반 전략

핵심 SaaS KPI의 이해

  • MRR(Monthly Recurring Revenue): 월 정기 수익, SaaS 비즈니스의 핵심 지표
  • Churn Rate: 이탈률, 고객 유지와 직결되는 KPI
  • LTV(Customer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장기 수익성 평가 지표
  •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유치 비용

고객 성공 전략의 중요성

  • 단순한 고객 지원을 넘어서는 Customer Success(CS) 팀의 역할이 강화됨
  • 도입 후 정착(onboarding) 지원, 사용 데이터 기반 상담, 업셀링 전략 설계 등 포함

📈 고객 유지율을 높이는 것이 CAC 대비 LTV를 끌어올리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1️⃣2️⃣ SaaS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사례

마케팅

  • HubSpot: 이메일 마케팅, CRM, 자동화 캠페인 설정
  • ActiveCampaign: 세분화된 트리거 기반 마케팅 자동화

재무 및 회계

  • QuickBooks: 중소기업 회계 자동화
  • Xero: 클라우드 회계 + 은행 연동
  • Bill.com: 송장, 결제 자동화

인사 및 채용

  • Rippling: 급여, 장비, 계정 등을 자동 프로비저닝
  • Workable: 채용 프로세스 전반 관리
  • Deel: 글로벌 팀의 고용, 계약, 급여 관리 자동화

🔄 SaaS는 부서별 워크플로우 효율화를 통해 조직 전체의 운영비용을 절감시킵니다.


1️⃣3️⃣ 국내 B2B SaaS 스타트업 동향

유망 SaaS 기업

  • 채널톡: 고객 상담 + CRM + 마케팅 통합 플랫폼
  • 센드버드(Sendbird): 채팅 SDK/API 글로벌 시장 점유
  • 루닛: AI 기반 의료영상 분석 SaaS로 해외 병원 진출

시장 환경과 과제

  • 한국은 SaaS 인프라 및 구독 결제 문화에 한계가 존재
  • 하지만 비대면 업무, 스타트업 확산 등으로 도입 수요는 급증
  • 클라우드 규제, 보안 인증 등 해결 과제가 여전히 존재

🇰🇷 한국 SaaS는 글로벌 수요와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4️⃣ 도입 시 고려사항

보안과 데이터 거버넌스

  • SOC2, ISO27001, GDPR 등 보안 인증 확인
  • 사용자 접근 권한 설정, 로그 기록, 데이터 암호화 여부 검토

SLA와 지원 체계

  •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 수준 확인 (가동률, 응답 시간 등)
  • 한국어 지원 가능 여부, 운영 시간, 장애 대응 체계 확인

내부 도입 장벽 해소

  • 사용자 교육 자료 제공, 관리자 가이드 필수
  • 내부 IT 인력과 협력하여 파일럿 도입 → 전사 확장 전략 권장

1️⃣5️⃣ 미래 전망

Vertical SaaS의 글로벌 확장

  • 분야별 전문 SaaS의 수출 경쟁력 강화 → 의료, 교육, 제조 등
  • 특정 산업의 문제 해결에 집중한 초특화 SaaS가 주목받음

AI·로우코드 통합 SaaS

  • 생성형 AI와 연동된 SaaS, 코딩 지식 없이 앱을 만드는 Low-code/No-code SaaS 성장
  • 비개발자 중심의 SaaS 사용자 확대

ESG 및 거버넌스 중심 SaaS 부상

  • 지속가능경영 보고, ESG 데이터 집계, 윤리적 소비 측정 SaaS 등장
  • 기업의 투명성과 지속가능성을 관리하는 SaaS 수요 증가

🚀 B2B SaaS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기업의 전략적 인프라로 진화 중입니다.


✅ 결론

SaaS는 선택이 아닌 전략

오늘날의 기업은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효율을 극대화하며, 유연하게 성장해야 합니다. B2B SaaS는 이런 기업의 니즈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단순한 소프트웨어 도입이 아닌, 비즈니스 전략의 중심축으로 작용합니다.

  • 전통 소프트웨어 대비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 뛰어남
  • AI, API, 자동화와 결합되며 비즈니스 역량을 증폭시킴
  • 고객 성공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촉진

기업은 SaaS를 단순한 도구로 보기보다는, 조직 전체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제고하는 인프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전략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SaaS를 도입하는 기업이 아닌, SaaS 중심으로 운영되는 기업이 생존한다."


❓ FAQ (자주 묻는 질문)

Q1. SaaS와 PaaS, IaaS의 차이점은?

  • SaaS: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하는 모델 (예: Google Workspace)
  • PaaS: 개발자를 위한 플랫폼, 앱을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 제공 (예: Heroku)
  • IaaS: 가상서버, 네트워크, 저장소 등 인프라를 제공하는 모델 (예: AWS EC2)

Q2. SaaS는 중소기업에도 적합한가요?

  • 네, 초기 비용 부담이 적고 빠른 도입이 가능하여 스타트업, 중소기업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필요 기능만 구독하여 효율적인 비용 운용이 가능합니다.

Q3.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되나요?

  • 일반적으로 AWS, GCP, Azure 등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에 저장됩니다. 일부 기업은 국내 리전(서울 등)을 통해 로컬 데이터 저장을 지원합니다.

Q4. 해외 SaaS의 국내 사용 시 유의점은?

  • 한국어 지원 여부, 결제 통화, 법적 데이터 위치, 보안 인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SaaS는 한국 내 공식 리셀러를 통해 지원을 제공합니다.

Q5. 비용 구조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 대부분 월간(Monthly) 또는 연간(Annual) 구독 모델로 요금이 책정됩니다. 사용자 수, 기능 범위, 데이터 저장량 등에 따라 차등 과금됩니다.

📊 SaaS는 단순히 "얼마에 쓰느냐"보다,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ROI를 좌우합니다.